[★]AlarmCare: Exploring Mobile Alarm as a Supportiv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Peers
- admin
- 2024년 6월 3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4년 11월 18일
팀명
WellComLab
팀원 명단
김성수, 김병주
지도교수
김재정 교수님
작품 배경 및 목적
'-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우울증은 전 세계 약 8천만 명이 겪고 있는 흔한 정신 건강 장애이다.
- 그러나 미국에서 성인 우울 증상을 보이는 사람 중 약 39%가 전문 치료를 적극적으로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치료를 받으려는 의지에는 태도적 및 구조적 장벽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
- 무선 센싱 기술(스마트워치, 스마트폰)은 기분 변화를 예측하고 적시에 스트레스 개입(문자 메시지, 음성, 영상 기능)을 제공하는 데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활용하여, 비용 효율적이고 접근성이 좋은 솔루션으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하지만 이러한 기술은 주로 임상 의사와 환자 간의 정신 건강 지원에만 K2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제 환경에서 효과적이지 않다는 우려가 있다.
- 따라서 전화 통화, 문자 메시지, 소셜 미디어와 같은 일상적인 소통 수단으로 친구, 연인 등 동료 간의 정신 건강을 지원하는 저비용 지원적 소통(supportive communication) 방법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AlarmCare라는 시스템을 설계하여 새로운 형태의 지원적 소통 방식을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AlarmCare는 동료들이 직접 만든 알람을 통해 매일 서로 정신 건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
- 알람을 통해 사용자는 하루 중 정해진 시간에 동료에게 음성 메시지를 보낼 수 있으며, 새로운 지원적 소통 채널을 형성한다.
작품 내용
'- AlarmCare를 사용한 실험적 배포 연구를 통해 다음 세 가지를 관찰한다:
1. 사용자들이 어떤 종류의 알람을 만드는지.
2. 이러한 알람과 음성메시지가 어떤 감정을 불러일으키는지.
3. 알람이 사용자의 우울 증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 결과를 통해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인 모바일 알람이 일상생활에 통합되어 보다 타겟화된 정신 건강 지원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실험 결과
- 사용자들의 알람 사용 양상은 크게 수신할 상대방의 일정(루틴)에 맞춘 Routine 형 알람과 일회성 음성 메시지 전송 목적의 Non-Routine 형 알람 두 가지로 나눠짐
- Routine형의 세부 category는 기상, 취침, 식사 독려, 복약 독려, 운동 권장으로 분류되었음
- Non-Routine형의 세부 category는 음성 메세지의 내용이 송신자 중심의 이야기인 ‘Sender-centered alarm’, 수신자 중심의 이야기인 ‘Receiver-centered alarm’ 두 가지로 분류되었음
- 참여자들은 음성 메시지를 길게 녹음하지 않고 간결하게 필요한 내용만 담아 전달하는 경향을 보임
- 수신자가 음성 메시지를 들은 직후에 ema 설문을 통한 perceived social support의 수치를 보면 모두 평균이 2점을 넘는 고득점을 한 것을 볼 수 있음(0~3 사이의 4점 척도 기준)
- 총 110개의 알람 중 65개의 알람이 Routine type. 45개의 알람이 Non-Routine type이었음
- 참여자들이 느낀 감정은 위 표에 나와있는대로 5가지로 나뉨
- 그 중 ‘Sense of Being Cared for’ 즉, ‘챙김 받는 느낌’이라는 감정이 제일 major한 사용자 감정이었음
- 송신자의 음성 메시지가 사용자 감정에 큰 영향을 끼침
- 송신자의 음성 메시지가 어떤 내용일지 궁금하고 기대가 되었다는 응답도 있었음
- 또한 음성 메시지를 들으면 그 순간에 친구와 함께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는 응답도 존재함
- 그 외에도 예상치 못한 시간에 알람을 받으면 일상에 방해가 된다는 부정적 의견도 있었고 오히려 일상에 refresh(cheerfulness)함을 느꼈다는 참여자도 있었음
- 실험 사전에 한 번, 사 후에 한 번 진행한 우울 정도 측정용 PHQ-9 설문 결과, 참여자들은 평균 7.9에서 평균 3.9로 유의미하게 우울 수치가 감소하였음 (t=3.647,p<0.01)
- 또한, 효과 크기는 Cohen’s d 0.92 로 알람을 통한 supportive communication이 우울 수치 감소에 큰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