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Comi

  • 작성자 사진:   admin
    admin
  • 2024년 6월 4일
  • 4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4년 11월 18일





팀명

COMI


팀원 명단

이세준, 문영균, 박재우


지도교수

박정희 교수님


작품 배경 및 목적

작품 배경

AI 기반 인물 복제 기술의 발전과 활용 가능성

최근 AI 기술의 발전은 딥러닝과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인물 복제 기술의 정교함을 크게 향상시켰다. 딥페이크 기술을 포함한 이러한 인물 복제 기술은 미디어 콘텐츠, 가상 인물 생성, 엔터테인먼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실시간 상호작용이나 맞춤형 콘텐츠 생성 등 새로운 활용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윤리적·사회적 문제와 잠재적 위험성 분석

AI를 활용한 인물 복제 기술의 확산은 사생활 침해, 허위 정보 유포, 악의적 활용 가능성 등 다양한 윤리적·법적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특히 무단 복제를 통한 명예 훼손, 정보 조작 우려가 커지며 기술의 사회적 영향이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다.


본 프로젝트는 이러한 인물 복제 기술의 구현 가능성을 평가함과 동시에, 관련된 잠재적 위험성과 윤리적·사회적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둔다.


목적

1) AI 인물 복제 기술의 구현 및 유사성 분석

본 연구의 첫 번째 단계는 AI 기술을 활용하여 인물 복제를 실질적으로 구현해 보는 것이다. 딥페이크와 딥러닝 모델을 사용해 특정 인물의 외모, 목소리, 표정 등을 정교하게 복제하고, 실제 인물과의 유사성을 평가하여 재현 가능성을 분석한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복제된 인물의 표현력과 디테일을 정량적으로 비교하고, AI 복제 기술의 한계와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파악한다.


1-1) AI 인물 복제 시도

- AI 기술을 활용하여 인물의 성격, 말투를 복제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 인물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AI 모델을 학습시킨다.


2) 유저 테스트를 통한 복제 기술의 실제 반응 및 위험성 평가

실제로 개발된 AI 인물 복제 기술의 테스트와 문제점을 평가하기 위해, 복제된 인물을 다양한 사용자에게 테스트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유저가 복제된 인물에 대해 어느 정도의 유사성과 신뢰성을 느끼는지 조사하며, 복제 기술이 개인 및 사회적 관계에서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관찰한다.


2-1) AI 인물 대화를 위한 사용자 서비스 구현


- 다양한 주제의 대화: 사용자가 다양한 대화 주제로 대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AI와의 대화가 더욱 사실적으로 느껴지게 할 수 있다.


- 다양한 인물 제공: 각 인물은 고유한 대화 방식과 표현 스타일을 가지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톤과 반응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다양한 성격과 특성을 가진 여러 가상 인물과 대화할 수 있도록 하여 인물 별로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낼 수 있다.


2-2)사용자 서비스를 통한 유저 평가


- 유저는 복제한 AI와 실제 사람의 성격, 말투를 비교하고, 이를 평가한다.

- 평가 결과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AI 인물 복제의 정확도를 개선한다.


3) 윤리적·사회적 위험성 평가

AI 인물 복제가 야기할 수 있는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다각도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복제된 인물이 개인 정체성과 공적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사생활 침해와 권리 침해의 잠재적 위험을 분석한다. 스칼렛 요한슨 사례와 같은 실질적 사례를 참조하여, 무단 복제가 명성 훼손 및 허위 정보 유포를 초래할 가능성에 대해 탐구한다.


작품 내용

세부 내용

1. 인물 복제 시도의 기술적 배경

인물 복제는 컴퓨터 비전과 딥러닝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통해 가능해졌다. 예를 들어, Goodfellow et al. (2014)에 의해 제안된 적대적 생성 신경망(GAN)은 딥페이크(deepfake)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으며, GAN을 활용한 딥페이크는 인물의 얼굴, 목소리, 특정 표정까지 자연스럽게 합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한 음성 합성 기술인 TTS(Text-to-Speech) 및 음성 클로닝(Voice Cloning)은 특정 인물의 목소리를 학습하여 마치 본인이 말하는 것처럼 생성해내는 데 쓰인다.

또한 자연어 처리(NLP)와 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텍스트 생성 기술은 특정 인물의 발화 패턴을 학습하여 그 사람처럼 글을 작성하게 하는 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외양이나 목소리를 복제하는 것을 넘어서, 인물의 행동 양식이나 언어 사용 패턴까지 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2. 인물 복제 시도의 활용 가능성

인물 복제는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이나 교육적인 목적의 인물들을 복제하여 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더 현실감 있게 역사를 배우거나 가상의 대화 경험을 얻을 수 있다 (Schick et al., 2020). 또한 가상 비서나 영화 캐릭터 제작, 게임 산업 등에서도 사실적이고 인간 같은 캐릭터를 창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기업에서도 유명 인사의 가상 이미지를 광고나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팬들이 좋아하는 인물과의 가상 상호작용을 통해 더욱 개인화된 소비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버추얼 아이돌이나 가상 인플루언서는 일본과 한국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이미 상업적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는 상황이다 (Park et al., 2021).


3. 인물 복제 시도의 위험성과 윤리적 문제

AI 인물 복제 기술의 발전은 동시에 다양한 윤리적, 법적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위험 중 하나는 인물 복제가 허위 정보나 명예 훼손, 사기 등에 악용될 가능성이다. 페이크 뉴스나 조작된 동영상은 사람들의 인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 선거와 같은 공적 사안에서도 오용될 수 있다 (Ajder et al., 2019). 실제로 2019년 미국 선거에서는 특정 정치인의 발언을 조작한 딥페이크 영상이 퍼져 큰 논란을 일으켰다.

더 나아가 이러한 기술은 개인의 사생활을 침해할 수 있으며,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게 자신의 이미지나 목소리가 도용되는 상황에 놓일 위험이 있다. 현재 법적으로는 초상권과 저작권 보호법이 존재하지만, AI가 생성한 인물 복제물에 대한 법적 권리 문제는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다 (Kietzmann et al., 2020).


개발 결과

1. 인물 복제 AI

인물의 성격과 목소리를 복제하기 위해 LLM(Large Language Model)과 Cloning TTS(Text To Speach)등, 고도화된 딥러닝 및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AI 인물 복제 모델을 개발하였다.


- 말투 복제

영상, 대본등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특정 인물의 언어 패턴, 문장 구조, 어휘 선택 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학습.


- 목소리 복제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원본 인물의 음색, 억양, 말하기 리듬을 재현


- 성격 모델링

인물의 대화 스타일, 감정 표현, 반응 패턴을 문서화하여 프롬프트를 통해 학습


2. AI 인물 대화 서비스 구현

개발된 AI 인물 복제 모델의 성능과 사회적 수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사용자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 다양한 대화 주제 지원

사용자가 복제된 AI 인물과 다양한 주제로 자연스러운 대화 가능


- 맞춤형 인물 선택

사용자가 원하는 복제 인물을 선택하여 상호작용


- 실시간 평가 시스템

대화 후 AI 인물의 유사성, 신뢰성, 대화 품질 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능 탑재


- 데이터 수집 및 분석

사용자 평가 결과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AI 모델 개선을 위한 피드백 제공



ree






댓글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