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프라이버시 보호 실시간 화면공유 서비스

최종 수정일: 6월 12일




















팀명

CTR


팀원 명단

이예인, 최동현


지도교수

장진수 교수님


작품 배경 및 목적

디지털 기술 발전은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정보 격차를 심화시킨다. 디지털 취약 계층은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어, 실시간 화면공유 서비스가 문제 해결 및 사용법 안내에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그러나 실시간 화면공유 서비스는 개인 메시지, 금융 정보 등 민감 정보 노출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을 수반하고 의도치 않은 민감 정보 노출은 심각한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한 실시간 지원 서비스 활용을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의 탑재가 필요한 상황이다.


작품 내용

본 프로젝트는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이용 중 발생할 수 있는 민감 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해 안전한 실시간 지원 서비스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디지털 취약 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궁극적으로 디지털 정보 격차 해소에 기여하고자 한다.



기능 1 : AI 민감정보 자동 마스킹


AI 마스킹 기능은 WebRTC 기반의 화상 통화, 화면 공유, 채팅 상황에서 동적으로 나타나는 개인 메신저(Kakao Talk, Mail등)과 같은 민감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가려준 뒤 상대방한테 전송하는 기능이다. 초기 테스트에서 나타난 발열 및 처리속도 저하(40ms)등의 문제는 화면의 특정 영역만 탐지하도록 수정하여 성능을 개선하였으며, 그 결과 약 (15ms)의 처리 속도를 확보했다. 추후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On/Off기능, OS에 맞는 영역 자동 지정기능 등을 추가할 예정이다.



기능 2 : 화면 영역지정 공유


화면 영역 지정 공유 기능은 사용자가 화면의 특정 부분만을 선택하여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선택되지 않은 영역의 정보가 의도치 않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향후에는 영역 지정 방식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슬라이더 방식을 제거하고 사용자가 직접 화면의 영역을 드래그하는 등의 방식으로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변경할 계획이다.



ree



댓글


bottom of page